목록전체 글 (44)
쵸르니만세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의 개념으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뜻한다. 오르기만 하는 물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디플레이션처럼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이 좋은 것 처럼들릴 수 있다. 하지만 디플레이션은 조금 더 복합적인 개념이다. 디플레이션이 극단적으로 발생한 사례는 일본에서 나타난 잃어버린 10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같은 현상이다. 즉, 거품 붕괴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디플레이션 규모가 크면 돈을 이용해 개인이 소유하고 있던 실물의 값어치가 하락한다. 이는 대출과같은 레버리지로 얻은 거금, 증권을 소유한 기업에는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 소비가 정체되고 은행을 포함해 대다수의 기업이 도산하게되는 현상과 같은 피해를 만든다.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가 정체되면 물가가 더..
신자유주의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와 밀턴 프리드먼과 같은 시카고 학파 경제학자들의 사상이다. 경제적 자유는 곧 정치적 자유와 개인의 자유와 연결되어 있다는 논리이다. 신자유주의는 구체적으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경제학자마다 정의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다. 신자유주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다는 이유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반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신자유주의는 1929년 시대를 풍미했던 케인스주의가 점점 힘을 잃어가면서부터 떠오른 사상이다. 1970년 당시 오일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 등의 현상으로 케인스주의에 대한 의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신자유주의는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선진국의 경제적인 사상을 이끌었다. 신장주의는 소련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가 해체되고 전 세계적으로 자본주의의 흐름이 시작..
우리나라의 금융 제도는 복잡한 용어가 많아서 이해하기 어려워 하는 경향이 있다. 금융시장은 전통적 금융시장, 외환시장, 파생금융상품시장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번 포스트에서 집중적으로 다뤄볼 내용은 전통적 금융시장이다. 전통적인 금융시장은 단기 금융시장과 자본시장으로 구분된다. 단기금융시장에는 총 여섯가지의 구성 요소가 있다. 첫 번째는 콜 시장이다. 콜시장은 일시적인 자금 과부족을 조절하기 위해서 금융 기관이 서로 초단기적으로 합의 하에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한다. 은행과 증권, 보험사와 같은 총 300개가 넘는 금융기관이 참가하고 있다. 최장 만기일은 90일로 제한되어 있으나, 주로 만기가 1일인 상품을 중심으로 거래된다. 단기금융시장의 두 번째 구성 요소는 환매조건부채권 시장이다. 환매조건부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