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4)
쵸르니만세
화폐 금융론은 거시경제학의 여러 이론 중 하나다. 화폐를 사용하는 금융 시스템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화폐의 역할은 거시경제학과 관련이 높다. 화폐금융론은 중앙은행이 매우 높은 관심을 가질 분야하고 비공식적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는 화폐와 금융이 무엇인지, 금융 상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채권과 이자율이 무엇인지, 주식에 대해 배운다. 화폐 금융론은 거시적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금융을 접근하는 반면에 금융경제학은 미시경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이론이다. 화폐금융론의 화폐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다. 먼저 화폐의 순기능은 거래비용을 줄여주고 교환 과정에서 신축성을 줄 수 있다. 과거에 물건을 서로 교환하던 방식은 욕망이 서로 일치해야 했던 반면에 화폐는 공통의 관심사이기 땜누에 교환 과..
경제학에는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이라는 두 개의 큰 줄기가 있다. 이 둘은 경제학적 원리와 맥락에서는 동일하지만 관심사와 연구 방법은 전혀 다른 학문이다. 미시와 거시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은 서로 다른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가장 주요한 차이는 같은 대상이라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이다. 미시경제학은 대체로 일상에서 나타나는 경제 사례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오늘은 왜 문어가 한 마리에 80,000원씩이나 하는지 미시경제학적 관점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월급이 향상하면 그 돈을 어디다 쓰는지 등 일상 속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경제적인 문제를 다룬다. 반대로 거시경제학은 청년 실업률이 높아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우리나라의 세금은 얼마를 걷어야 할지 생각하는 학문이다...
케인스는 기존 자본주의에 거대한 변화를 일으킨 경제학자다. 케인스는 시장이 수요와 공급을 통해 가격이 자동으로 수급이 조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주장했다. 세계 대공황은 케인즈가 제시한 적절한 예시에 해당한다. 그는 대공황의 요인을 임금이나 물가 등 명목 변수의 경직성 그리고 시장에 부정적인 전망이 만연해 급속도로 금융이 냉각되는 현상 등을 꼽았다. 케인스는 이에 대한 처방으로 정부가 재정을 확대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이 주장은 세이의 법칙을 정면으로 반박한 행동이었다. 하지만 케인스의 주장은 정확히 성립했다. 그 전까지 세계 경제학의 기본 원리였던 세이의 법칙은 문제가 많이 제기된 이론이었다. 오히려 당시 경제학자들은 단기적으로는 수급 차이가 분명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저절로 업어질 것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