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0/07/14 (3)
쵸르니만세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일정 기간 비례적이고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는 화폐가치가 지속적이고 비례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다. 반대말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디플레이션도 있다. 인플레이션을 보통 경제성장과 함께 나타난다. 초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이 심해질 때 부르는 현상이다. 인플레이션은 판단 기준이 있다. 인플레이션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정을 해야 한다. 먼저 기준이 되는 년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을 어떤 관점에서 이용할지에 따라 계산을 한다.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느끼는 물가 변동을 숫자로 나타낸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한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가자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양을 기준으로 물가의 변동을 나타낸 수치다. 다른 용도에 따라서 생산자 물가지수나 경제 전반의 ..
이번 포스트는 이자율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자율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부자금설에 대해 알아야 한다. 대부자금설은 채권가격은 채권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고 이자율은 대부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고 된다는 이론이다. 대부자금설의 구조는 채권의 수요 및 공급 곡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채권 가격이 하락하면 자금의 공급이 증가하고 채권의 수요가 늘어나다. 채권 가격이 올라가면 채권 공급이 늘어나거나 자금조달비용이 하락해서 자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채권수요자의 재산이 증가하면 다른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떨어진다. 채권의 안전성이 상승하고 채권 유동성이 증가한다. 이는 예상 인플레이션을 하락시켜 채권 수요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채권수요자의 재산이 ..
화폐 금융론은 거시경제학의 여러 이론 중 하나다. 화폐를 사용하는 금융 시스템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화폐의 역할은 거시경제학과 관련이 높다. 화폐금융론은 중앙은행이 매우 높은 관심을 가질 분야하고 비공식적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는 화폐와 금융이 무엇인지, 금융 상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채권과 이자율이 무엇인지, 주식에 대해 배운다. 화폐 금융론은 거시적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금융을 접근하는 반면에 금융경제학은 미시경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이론이다. 화폐금융론의 화폐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다. 먼저 화폐의 순기능은 거래비용을 줄여주고 교환 과정에서 신축성을 줄 수 있다. 과거에 물건을 서로 교환하던 방식은 욕망이 서로 일치해야 했던 반면에 화폐는 공통의 관심사이기 땜누에 교환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