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0/07/18 (5)
쵸르니만세
세계 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율에 관한 공부가 필수적이다. 사전적 의미의 환율은 국가와 국가 간의 화폐의 가치를 비교하기 위해 만들어낸 비율을 의미한다. 통화의 가치는 구매력과 같다. 한 국가의 통화가치가 다른 나라에서의 구매력이 얼마인지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통화의 대외가치를 나타내는 수단이 환율이다. 현재 세계의 기축통화는 미국의 달러이므로 환율은 달러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환율이 올라간다는 것은 원화가치가 하락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같은 원리로 훤율이 내리면 원화가치가 올라가는 것이다. 달러의 가격이 곧 환율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환율을 표기하는 방법은 기준 통화단위 그리고 슬래시 기호 마지막으로 자국 통화 단위를 쓰는 것이다. 원 달러 환율 그리고 엔..
채권에 대해 알아보자. 채권은 돈을 빌린 후에 약속한 기간이 지난 후에 돌려주겠다는 약속을 증권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방 정부나 중앙 정부, 금융기관, 회사 등에서 자금 조달을 위해 돈을 빌리게 되는데 그 돈을 빌렸다는 증서가 채권이다. 일반적인 대출과 다르게 자금을 조달하는 기관들이 국가나 기업같이 개인의 거래보다 신용이 훨씬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빚 문서를 거래가 가능한 유가증권의 형태로 만들어 불특정 다수의 사람으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게 한 제도다. 채권은 신용은 결국 만기기한과 같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실물 경제로서의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채권을 발행하는 1차 시장과 채권을 유통하고 거래하는 2차 시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채권은 기업, 가계 그리고 정부와 같..
주식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주식회사를 먼저 알아야 한다. 주식회사는 법인이다. 정확히 말하면 법인성과 사단성이 뚜렷한 회사로 주식으로 세분화된 일정한 자본을 소유한 회사다. 주식회사는 자본단체이며, 회사의 자본은 발행된 주식에 의해 모아진다. 즉, 주식은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이며 증서다. 주식회사는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을 투자받는다. 단체나 개인이 특정한 회사에 투자한 뒤에 일정 기간마다 그에 상응하는 이익을 되돌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예를 들어 투자를 많이 한 사람은 그만큼 많은 이익을 배당받거나 회사의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즉, 한 회사에 1000만원을 투자한 사람은 1000만원에 해당하는 경영권을 갖게 된다. 그 규모에 따라 1000만원이 1%의 지분이 될 수 ..
금융이란 자금의 융통을 의미한다. 돈을 빌리거나 빌려주는 것 혹은 돈으로 다른 돈을 사고파는 거래를 뜻한다. 돈이 있는 사람은 돈을 빌려주며 이자를 받고, 돈이 필요한 사람은 돈을 빌리고 이자를 지급한다. 금융의 구체적인 형태는 증권, 보험, 종합금융 등의 금융기관에서 하는 업무들이다. 금융업종은 종사자들의 평균 학벌이 높은 편이다. 경제, 경영학 출신자뿐 아니라 인문계열과 사회계열학과 출신도 금융업종을 가장 선호한다. 역사적으로 금융은 오랜 시간 동안 박해를 받아왔다. 돈 있는 사람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은 불로소득으로 비추어지고 돈 없는 사람이 돈을 빌리는 것은 파산할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때문에 동양의 유교 사상가들이 농업을 가장 근본적인 일이고 상업은 천..
스태그플레이션은 불경기인 스태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단어다. 플레이스테이션과 혼동하는 사람이 간혹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과는 또 다른 개념의 경제 용어다. 스태그플레이션 역시 인플레이션이 포함된 개념으로 해석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인 인플레이션과는 다른 개념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총 공급이 감소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의미한다. 상식적 수준에서 설명하면 경기가 호황일 때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가가 오르고, 경기가 불황일 때는 불안 심리가 작용하여 물가가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 불황 속에도 물가가 동시에 오르는 것과 같이 상식을 벗어난 현상이다. 경제가 위축되는 와중에 벌어지는 물가 상승. 스태그플레이션과 정반대의 개념은 경제가 호황임에도 불구하고 물가..